와이즈서클

와이즈서클

  • 분류 전체보기 N
    • 프로그램 N
    • 서클 이야기
  • 환영합니다
  • 진행자 소개
  • 서클형 대화란?
  • 운영중인 프로그램
  • 문의하기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와이즈서클

컨텐츠 검색

서클 이야기(31)

  • 서울시 활동가 학습 플랫폼 PAN - 와이즈서클이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며, 더 나은 사회와 삶을 만들어가는 사람들, 활동가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활동가 학습 플랫폼 (npo-pan.kr)이 열렸어요. 은 활동가 교육 전문기관의 교육정보와 콘텐츠를 아카이빙(archiving)하고, 활동분야, 직무, 경력별로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활동가가 자신에게 필요한 역량을 파악하고 스스로 학습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시민사회 역사, 기본개념 등 시민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다양한 온라인 강의도 무료로 수강할 수 있어요. 이번에 서울시NPO지원센터에서 활동가 학습을 위해 '큰 일'을 벌이셨습니다. 이곳에 '와이즈 서클'이 진행하는 교육 정보들을 공유하고 언젠가는 교육 프로그램을 함께 기획하기도 하겠지요. 많은 분들의 관심과..

    2025.09.16
  • 2019 독서서클 <협력의 리더십> 6회차 마치고

    '협력의 리더십'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2019년 3월부터 매주 한 권, 지금까지 총 6권의 책을 나누었습니다. 짐 볼트 테일러, - 뇌과학자의 뇌가 멈춘 날 존 밀러, - 복잡계를 지배하는 핵심 원리 10가지 랜 피셔, - 최상의 해답은 대중 속에 있다 요차이 벤클러, - 협력은 어떻게 이기심을 이기는가 니컬러스 크리스태키스, - 의학과 과학으로 증명해낸 인간관계의 비밀 앤드루 졸리, - 누구나 쓰러지는 때가 있다 앞으로 총3권이 저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김상욱, 데이브 로건, 달라이 라마, ------------------------------------------------------------------------ 매번 서클 대화 속에서 큰 배움들을 얻을 수 ..

    2025.09.16
  • 퍼실리테이터(진행자)의 역할

    "퍼실리테이터는 보통 한동안 집단을 지켜보면서 때때로 끼어들어 진행되는 상황을 설명해준다든가 하는 일을 한다. 하지만 퍼실리테이터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자신이 없어도 대화가 원활히 진행되고 모임이 굴러가게 하는 것이다." - by. 데이비드 봄 "퍼실리테이터는 가능한 빨리 역할을 그만두고, 집단이 알아서 방향을 정하도록 해야 한다." - by. 리 니콜

    2025.09.16
  • 2018-2019년 와이즈서클 '서울시NPO지원센터' 입주

    서울 을지로에 위치한 '서울시npo지원센터' 2층에는 npo 조직들을 지원하거나 또는 스스로 공익적인 활동을 꾸려 가는 단체들에게 협업 공간을 마련해주고 있습니다. 1년간 은 이 공간에서 오고가는 다양한 조직들을 만날 예정입니다.

    2025.09.16
  • 2020 서울시 활동가 학습 플랫폼 PAN 파트너

    사회적 가치를 확산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며, 더 나은 사회와 삶을 만들어가는 사람들, 활동가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활동가 학습 플랫폼 (npo-pan.kr)이 열렸어요. 은 활동가 교육 전문기관의 교육정보와 콘텐츠를 아카이빙(archiving)하고, 활동분야, 직무, 경력별로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활동가가 자신에게 필요한 역량을 파악하고 스스로 학습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시민사회 역사, 기본개념 등 시민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다양한 온라인 강의도 무료로 수강할 수 있어요.

    2025.09.15
  • 서울시NPO지원센터 X 와이즈서클 = 비영리단체를 위한 위기관리 툴킷 제작

    '서울시NPO지원센터'와 '와이즈서클'에서 몇 달에 걸쳐서, 위기관리를 위한 진단 체크리스트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6월에는 비영리단체 활동가분들과 같이 진단해보고 이야기 나누는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우리 단체엔 위기가 없을까? 간단하게 위기 진단해보기비영리를 위한 위기관리 툴킷 도구 : 비영리를 위한 위기관리 툴킷 시간 : 15분~20분 (센터 테스트 기준) 용도 : 우리 조직의 위기관리는 어떠한지 간단히 진단하고, 이를 대화주제로 꺼내보고 싶을때 준비 : 툴킷, 참여할 구성원 음악과 간식 제작 : 서울시NPO지원센터 & 와이즈서클 도구 소개 코로나 19 이후, 해외 비영리 지원기관에서 비영리를 위한 다양한 위기관리 툴킷들이 제작되었습니다. 센터에서 이를 소개하기 위해 먼저 써봤는데, 국내 비영리 실정..

    2025.09.15
  • [NPO도구상점] 위기관리 툴킷 사용워크숍 진행했어요

    툴킷 책자가 완성되고, 비영리조직 활동가분들을 온라인으로 초대하여 사용 관련 워크숍을 진행하였습니다. https://youtu.be/Vo54SbKJ3V0'위기관리'라는 말 자체가 많이 낯선 터라 관심 갖고 참여해주신 분들이 더욱 가깝게 느껴졌습니다. -------------------워크숍 참가 신청 하기(클릭)NPO도구상점 오픈 워크숍들어보셨나요? 비영리를 위한 위기관리짜잔, 비영리활동에 필요한 도구를 소개하는 NPO도구 상점이 열렸습니다.NPO도구상점 오픈 기념으로 도구를 배우고 써보는 워크숍을 준비했습니다.비영리 위기관리 툴킷 워크숍에서 우리 조직의 위기를 점검하고, 건강하게 이야기를 시작하세요!이런 분들을 기다립니다.✔ 비영리 조직의 위기관리 요소가 궁금한 분✔ 도구를 통한 조직 진단에 관심이 ..

    2025.09.14
  •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기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문제가 어려웠던 것은 그 문제가 복잡하기 때문인데, 어떤 문제가 높은 사회적 복잡성을 가졌다면 그것은 그 집단에 소속된 사람들이 제각각 다른 방식으로 사물을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아공은 흑인 대 백인, 좌파 대 우파, 그리고 전통 대 현대라는 고전적인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봤다. 이런 양극단적인 사고방식을 고집했다. 높은 사회적 복잡성을 가진 문제는 상사나 전문가와 같은 권위 있는 인물이 해결할 수 없다. 그 문제의 당사자들이 스스로 해결책을 창조하고 실행할 때만 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조직 전체를 변화시킬 때에만 해결할 수 있다. - 아담 카헤인, 중에서. 사람은 믿는 대로 보게 되어 있어서, 일을 함께하는 사람들 사이에 어떠한 가정들을 공유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

    2025.09.14
  • 가짜뉴스에 의존하는 사회적 조건

    심재웅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걱정, 근심, 두려움 같은 부정적 감정이 지배적인 사회일수록 사람들이 가짜뉴스를 믿는다는 연구가 있다”며 “대화나 협력의 구조가 약하면 사람들은 점점 가상세계로 몰리고, 자기 생각에 반하는 내용은 잘 받아들이지 않게 된다”고 설명했다. - 이슈&탐사1팀 전웅빈 문동성 임주언 박세원 기자 imung@kmib.co.kr

    2025.09.14
  • '우리'라는 범위 넓히기

    미래학자 앤드루 졸리와 앤 마리 힐리가 적은 책 은 개인과 조직, 생태계와 세계 경제 시스템 등에서 혼란과 위기를 극복하고 회복력으로 나아간 수많은 사례를 흥미진진하게 보여주는 아주 고마운 책이다. 저자는 사회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의 말을 인용한다. “이타주의의 특징은 강렬한 감정과 변화무쌍한 충성이다. 인간은 사교의례에 있어서는 일관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누구에게 사교의례를 적용할지 결정할 때는 끊임없이 변덕을 부린다.” “내부 집단과 외부 집단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하지만 둘을 구별 짓는 선의 정확한 위치는 손쉽게 이리저리 옮길 수 있다.” 그러곤 이렇게 말한다. “다시 말해, 사람들이 ‘우리’의 정의를 확대하도록 만들면 된다. 과연 ‘우리’의 범위를 넓히려면 어떻게 해야 ..

    2025.09.12
  • 독서 모임의 진행팁

    먼저, ‘준비하면 좋을 것’입니다. 모임을 열고자 하는 본래 의미나 기대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환대와 따뜻함이 있는 초대의 글로 간단히 적어 주변에 나눕니다. 그리고 이야기하는 사람의 몸짓과 표정을 볼 수 있게 모두가 둘러앉을 수 있을 만한 여유 있는 공간을 알아봅니다. 테이블이 없을 때 장애물 없이 가깝게 더 서로를 나눈다는 느낌이 드는데, 테이블을 치울 수 없고 어쩔 수 없이 직사각형으로 앉아야 한다면 최대한 모두가 한 눈에 들어오도록 의자의 간격과 위치를 조정해봅니다. 가능한 한 공간 확보가 되는 곳으로 미리 섭외해보시길 제안합니다. (이미 있는 자원들을 활용하도록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해보세요. 주변 유휴 공간을 추천 받고, 어떤 분의 가정집 거실이나 원룸방도 둘러앉을 만하다면 내어줄 수 있는지 ..

    2025.09.12
  • [스프린트] 브레인스토밍이 최선인가?

    우리는 사람들이 집단으로 시끄럽게 브레인스토밍을 할 때보다는 혼자 일할 때 더 좋은 솔루션이 나온다는 것을 알고 있다. ... 1958년 예일대학교 연구에서는 동일한 문제를 놓고 개인이 혼자 해결할 때와 집단이 브레인스토밍할 때를 비교했는데, 그 결과 개인들이 압도적인 우세를 보였다. 개인들이 더 많은 솔루션을 내놓았을 뿐 아니라 더 뛰어나고 독창적인 솔루션이라는 평가를 받은 것이다.스프린트에서 우리는 혼자 일하되, 모든 사람이 집중하고 일을 진척시키도록 돕는 구체적인 단계들을 따른다. 각자 혼자서 스케치할 때면 깊이 생각할 시간이 주어질 것이다. 팀원 전부가 동시에 혼자서 일하면 모두 함께 브레인스토밍을 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집단사고에 빠지지 않고 서로 경쟁하는 아이디어들을 생각해낼 것이다. ( 집단..

    2025.09.11
이전
1 2 3
다음
최근프로그램 교육문의하기
와이즈서클
진행 이은주|전화 010-7330-0316|이메일 wise-circle@naver.com
© 2018-2025 와이즈서클.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